강선우 ‘갑질 논란’의 반전… 언론은 왜 침묵했나?

최근 강선우 전 의원이 장관 후보직에서 사퇴했습니다.
‘갑질 의혹’이 원인이었지만, 언론은 정작 해명이나 반론은 거의 다루지 않았죠.
익명 제보만으로 마치 마녀사냥처럼 몰아간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요즘 언론을 보면 팩트 체크 없이 사람을 악마화하고,
정치와 손잡고 기득권을 지키려는 모습이 보여 참 씁쓸합니다.

이 글은 보도되지 않았던 현장의 목소리와 반론을 바탕으로,
우리가 언론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지 다시 생각해보는 계기를 담았습니다.

언론의 문제는?
우리나라 언론의 문제는?

“갑질? 그런 적 없습니다”

전·현직 보좌진들, 폭로에 반박

실제로 강선우 의원실에서 근무했던 다수의 보좌진들은
“부당한 지시를 받은 적도, 그런 분위기도 없었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오히려 강 의원은 일정과 업무량을 항상 조정해주려 했어요.
강압적인 분위기는 전혀 없었습니다.”
— 전직 6급 비서관

또 다른 보좌관은, 문제를 제기한 당사자가
의무를 다하지 못했고 팀워크에도 문제가 많았다고 설명했습니다.

강선우 후보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

제보자 신원은 내부에서 다 알고 있었다

“의원실에 피해를 준 사람이 정의의 투사처럼…”

보좌진들에 따르면 해당 제보자가 누군지 이미 짐작하고 있었고,
오히려 그 사람이 의원실에 막대한 피해를 입힌 당사자라는 증언도 나왔습니다.

“팀워크를 해친 건 그분이었습니다.
갑자기 익명으로 폭로하면서, 피해자가 된 것처럼 보이더군요.”

언론 실망
언론 실망

반론 인터뷰도 있었지만, 언론은 침묵했다

보좌진들은 당시 다수 언론에 실명으로 인터뷰를 했지만,
그 어떤 기사에도 그들의 해명은 실리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실명으로 응했지만, 언론은 전혀 다뤄주지 않았어요.”

이쯤 되면 묻고 싶습니다.
진짜 언론은 어느 편에 서 있어야 하는 걸까요?


언론의 책임, 우리는 얼마나 생각하고 있을까

솔직히 말씀드리면,
요즘 우리나라 언론을 보면 정말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익명의 제보자 말만 믿고 팩트 체크도 없이 마녀사냥을 하는 모습,
과연 이게 언론의 역할일까요?

과거에도 이런 식으로 많은 사람들이 언론의 칼날에 다쳐왔습니다.
배우 이성균 씨 사건만 봐도 그렇습니다.
검증도 없이 마구잡이로 악마화시킨 언론, 반성하고 있을까요?


언론은 언제부터 ‘정치 언론’이 되었을까

모든 언론이 다 그렇다는 건 아닙니다.
분명 진심으로 바른 보도를 하려는 기자들도 있죠.
하지만 지금 문제는,
보도를 하기 전에 상대방의 해명이라도 듣고, 팩트라도 확인하라는 겁니다.

요즘 언론을 보면 마치 정치 검찰처럼 느껴집니다.
정치 언론이 되어버린 느낌이랄까요.
자신들의 기득권을 유지하려고
언론을 수단으로 활용하는 세력, 분명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대표적인 예, 언론이 만든 대통령

예를 들어 윤석열 전 대통령.
언론은 그를 ‘정의로운 검사’로 포장했고, 결국 대통령까지 만들었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서?

실제로 언론사들이 부동산을 많이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죠.
이재명 대통령이 되면 부동산 규제가 강화될까봐?
징벌적 손해배상 같은 언론개혁이 두려워서?

그렇다면 언론은 더 이상 민주주의의 수호자가 아닙니다.
자신들의 이익을 지키는 방패로 전락한 거죠.


강선우 사례, 언론은 균형을 지켰는가

강선우 전 의원의 갑질 의혹 보도를 보며,
한쪽 이야기만 듣고 판단한 언론의 태도는
그동안 우리가 지켜야 했던 가치들을 무너뜨린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누군가를 평가하려면,
그의 해명도 듣고, 함께 일한 사람들의 말도 확인하고,
그 후에 결론을 내려야 하지 않을까요?


마무리하며

강선우 전 의원을 옹호하자는 게 아닙니다.
하지만 누군가를 무너뜨릴 땐, 최소한 공정한 검증의 과정이 있어야 한다는 겁니다.
그게 언론의 본질 아닐까요?

더는 한 사람의 인생을,
팩트 없이 무너뜨리는 언론의 칼날에 모두가 무기력해지는 일이 없길 바랍니다.
진짜 언론은, 이제 달라져야 할 때입니다.


👉 관련 기사

강선우 갑질 없었다…언론들 인터뷰하고 기사는 안 써 (민들레뉴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